728x90

전체 글 9

RoHS 인증이란? (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Directive)

RoHS 인증이란 ? 유해물질 제한지침(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Directive)이라고 하며, 유럽 연합(EU)에서 유해물질 6가지를 사용한 전자제품 또는 전기기기를 제한하는 지침입니다. 6가지 유해물질의 함유량이 기준치 이하일 때 받을 수 있는 인증입니다. 2003년 2월에 WEEE(EU 전자제품 페기물 지침, Waste Electrical and Electonic Equipment)에 의해 제정 공포되고, 2006년 7월 1일부터 시행되었으며, 시행 이후부터 6가지 유해물질이 포함된 신규 전자제품 또는 전자기기는 EU 내에서 판매가 금지되었습니다. 2015년 6월 4일 유해물질에 4가지의 프탈레이트(DEHP, BBP, DBP, DIPB)가 추가되어 현재 총 1..

[전기·전자] PFC란?

PFC란? PFC는 역률개선이라고 하며, 말 그대로 역률을 개선하여 1에 가깝게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하자면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생기는 전력 손실을 줄여주는 역할입니다. PFC 장점은 1. 전자파를 줄일 수 있다. 2. 불필요한 전력의 소비를 줄일 수 있다. 3. 불필요한 전류가 열로 전환되어 생기는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4. 낮아진 온도 때문에 팬의 속도가 줄어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전기·전자] 커패시터(capacitor)/콘덴서(condenser)

커패시터(capacitor) / 콘덴서(condenser)을 알아보자. 커패시터 (capacitor), 축전기 흔히 콘덴서(condenser)이라고도 불립니다. 사실 콘덴서(condenser)라는 영어 용어는 광학에서 빛을 모으는 집광기나 기체 역학에서 응축기 등을 일컫는 말이기도 합니다. 전기를 모으고, 방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부품으로 커패시터(capacitor) 줄여서 캡(cap)라고도 부릅니다. 저항기, 인덕터와 함께 수동소자 전자부품입니다. 용량의 단위는 마이클 패러데이의 이름에서 따온 패럿(fard, F)입니다. 1V의 전압이 걸렸을 때 1C의 전하를 잡아둘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커패시터의 종류로는 전해 커패시터 필름 커패시터 세리막 커패시터 오일 커패시터 가변 커패시터 슈퍼..

[전기·전자] 트랜지스터란?

트랜지스터란? Transfer + Resistor 의 합성어로 = Transistor 라고 부른다. 전류나 전압흐름을 조절하여 증폭하거나 스위치 역할을 하는 반도체 소자입니다. 외부 회로와 연결할 수 있는 최소 3개 단자를 가지고 반도체 재료로 구성되어있으며, 전압 또는 전류가 한 쌍의 트랜지스터 단자에 인가가 되면 다른 한 쌍의 단자를 통하여 전류를 제어합니다. 출력된 전력은 입력된 전력보다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트랜지스터는 신호를 증폭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대부분의 트랜지스터는 규소와 게르마늄으로 만들어 지지만, 다른 특정 반도체 재료를 사용하여 만들 수도 있다. 트랜지스터는 전기장 효과를 이용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s Transistor : FET)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

[전기·전자] 교류(AC)란?

교류(AC)란? 시간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전류로서 AC(Alternating Current)라고 표현한다. 발전소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로 크기와 방향이 주기적으로 바뀌는 전류이다. 교번전류라고도 한다. 사인파형(정현파형)이 가장 전형적이며 사각파, 삼각파, 사다리꼴파, 계단파 등의 변형파가 있다. 교류는 전기화학적 작용이 적어서 도선의 부식이 쉽게 일어나지 않으며, 변압기를 이용하여 간단히 전압을 변경할 수 있고, 회로의 차단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리액턴스의 작용에 의해 송전거리가 한정되고, 전압강하도 커져서 송전송실도 커진다는 단점이 있고, 전자회로나 직류모터 등 직류사용을 필요료 하는 곳에서 변환장치를 사용하여 변환시켜야 한다. 대부분 50Hz, 60Hz의 교류를 배전하..

728x90
반응형